선물 - 백워데이션, 콘탱고, 베이시스

2011. 8. 13. 15:35Economy

반응형





지수선물이 상승 하루만에 하락세로 마감했다. 개인이 5000계약에 육박하는 선물 매도에 나서며 하락장을 주도했다. 전날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했던 외국인은 하루만에 순매수로 돌아섰다.

코스피200지수선물 9월물은 12일 전일대비 1.33%, 3.10포인트 내린 230.40으로 마감했다. 전날 고용지표가 개선됐다는 소식에 뉴욕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지수선물은 강세로 출발했다. 하지만 개인 순매도 물량이 꾸준히 유입되면서 오후들어 하락 반전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619계약, 876계약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개인은 4901계약 매도우위를 나타냈다.

마감베이시스는 +0.02로 6거래일만에 콘탱고를 기록했다. 프로그램은 차익거래, 비차익거래 각각 3767억원, 632억원 순매도를 기록해 전체적으로 4399억원 매도우위를 나타냈다.

거래량은 40만4232계약, 미결제약정은 692계약 늘어난 12만700계약이다.


/Date : 2011/08/12





-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선물과 현물간의 가격 역전 현상을 말하거나 만기가 늦은 지수선물 가격이 만기가 임박한 지수선물 가격보다 점차 인하되는 시장상황을 일컫는 용어다.

지수선물시장에서 선물가격은 상황에 따라 현물지수보다 높기도 하고 낮기도 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동한다.

시장이 정상적이라면 선물 가격은 현물지수보다 높다.

선물의 인·수도가 현물상품보다 늦게 발생해 그 기간 투자금액에 대한 이자비용 등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반면 비정상적인 시장에서는 일시적인 공급 부족 등 시장불균형에 의해 현물지수가 선물가격보다 오히려 높은 현상도 발생한다.

이같은 현상이 백워데이션이다.

선물가격이 저평가되는 백워데이션이 지속되는 이유는 시장전망이 불투명하거나 대차거래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 이럴 때 프로그램 매도가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현물 주가가 하락합니다.




- 콘탱고(Contango)

선물가격이 KOSPI200 지수보다 높을 때를 말한다.

이 상황에는 지수선물을 팔고, 대신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사들이는 프로그램 매수세가 나오게 된다.




- 베이시스(Basis)

베이시스(basis)란 주식시장에서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선물가격-현물가격)으로 베이시스가 양(+) 이면 '콘탱고' 라고 하며, 음(-)이면 '백워데이션' 이라고 한다.

대개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백워데이션이 발생하며 반대로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콘탱고 현상이 일어난다.

백워데이션은 현물가격이 선물가격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인식되며 이 경우 현물주식을 매도하고 선물을 매수하는 프로그램 매도차익거래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아 베이시스가 플러스를 가리키는 콘탱고 때는 선물을 팔고 현물을 사들이는 프로그램 매수차익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 프로그램 차익거래과 프로그램 비차익거래


프로그램 차익거래

차익거래는 현물시장과 선물 등 양시장간에 가격이 괴리를 보여 양 시장간의가 있는 경우, 즉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이 어느 한 시장요인에 의해 일시적 또는 순간적으로 정상적인 가격구조가 왜곡되어 비정상적인 상태로 괴리되는 경우 이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무위험 이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이다.

즉 주가지수, 예상배당수익률, 단기금리 등을 고려해 볼 때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갈 것으로 예상하여 고평가된 선물이나 주식을 매도하고 동시에 저평가된 선물이나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차익거래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매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시시각각 변하는 현물가격으로부터 이론선물가격과 베이시스 등의 계산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비차익거래

선물과 무관하게 코스피200 구성종목 중 15개 종목 이상으로 바스켓을 구성한 뒤 바스켓 전체를 일시에 거래하는 프로그램매매를 말한다. 동일한 상품에 대해 두 시장에서 서로 가격이 다른 경우, 가격이 저렴한 시장에서 그 상품을 매입하고 가격이 비싼 시장에 그 상품을 매도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차익거래와 달리 비차익거래는 선물이나 주식의 한 시장에서 동시에 대량으로 매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거래소에서 구분하는 비차익거래에는 인덱스매매, 포트폴리오 인슈어런스(portfolio insurance; PI), 자산배분, 기타매매가 있다.

따라서, 차익거래는 단기 매매 성향이 강하고 비차익거래는 시장을 사는 것임으로 중기 매매 이상의 성격이 강합니다.


 

반응형